INFO

3배 LTE 대령이오~ KT 광대역 LTE-A 개막

글로벌 종합광고 <옥외/온라인/제작물/홍보관/홈페이지제작> 2014. 1. 29. 13:48

3배 LTE 대령이오~ KT 광대역 LTE-A 개막

3배 빠른 광대역 LTE-A 시대가 점점 다가오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데이터가 3배나 더 많은 광대역 LTE 무제한 요금제까지 출시!!

2014년에도 통신사들의 빠른 움직임이 기대되네요~

 

 

 

내일은 우리나라의 대표 명절 설날입니다~~

새해 복 광~~~대하게 받으세요~

 

 

 3배 빠른 광대역 LTE-A 이름은 많이 들어보셨죠?

현재 기존 LTE보다 2배 빠른 광대역 LTE가 서비스 중에 있는데

올해 상반기에는 기존 LTE 보다 3배 빠른 광대역 LTE-A가 서비스된다고 합니다.

 

 

 

 

3배 빠른 광대역 LTE-A 서비스는 최고 225Mbps 속도가 가능한데요

기존 LTE 75Mbps 속도의 3배 입니다!!

현재 서울 및 수도권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광대역 LTE는 150Mbps,

 

KT는 현재 국내 유일하게 3배 LTE 광대역 LTE-A 상용망 시범서비스를 개시했는데요

현재 상용되고 있는 LTE 망에서 광대역 LTE-A 시범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다고 하네요

아직 지원되는 단말기가 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반 고객들은 직접체감 할 수는 없지만 상반기 중으로는

광대역 LTE-A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가 출시된다고 합니다.

 

 

 

 

LTE 속도의 차이는 주파수 대역의 크기에따라 달라지는데요

일반적으로 10MHz 대역폭에서는 최고 75Mbps 속도가 가능합니다.

 

일반 LTE는 10MHz 대역폭을 이용하기 때문에 최고 75Mbps 속도가 가능했는데요

 

2배 빠른 LTE로 알려진 광대역 LTE, LTE-A 서비스는

20MHz 대역폭을 이용하기 때문에 LTE의 2배인 150Mbps 속도가 가능하고

 

3배 빠른 LTE인 광대역 LTE-A 서비스는

30MHz 대역폭을 이용하기 때문에 LTE의 3배인 225Mbps 속도가 가능하게됩니다.

 

 

 

 

현재 2배 빠른 광대역 LTE 서비스는 통신3사에서 모두 서비스되고 있다고 하긴 하지만

운영되고 있는 주파수를 확인해보면 품질과 서비스면에서 많은 차이가 있을수밖에 없는데요

 

제일 먼저 광대역 LTE를 시작한 KT 부터 알아보겠습니다.

 

KT LTE는 1.8GHz 대역에서 전국망이 구축되어 있고 보조망으로 900MHz 대역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상향, 하향 각 10MHz 대역폭을 이용하고 있는데요

KT는 전국망이 구축되어 있는 1.8GHz 대역폭을 20MHz로 넓혀

2배 빠른 광대역 LTE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이미 전국망이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 광대역 LTE를 시작할 수 있었고

빠른시간에 서울 및 수도권 전역에 광대역 LTE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이미 전국망 광대역 LTE 서비스가 가능하지만 미래부의 제한으로 인해

SKT, LGU+와 보조를 맞춰야 하기때문에

5대 광역시는 3월, 전국서비스는 7월에 가능하다고 하네요

 

다음은 2번재로 시작한 SKT 인데요

SKT는 800MHz 주파수의 전국망과 1.8GHz 보조주파수 보조망을 이용해 LTE 서비스를 했습니다.

주력망과 보조망을 이용해 LTE-A 서비스를 할 수 있었지만

1.8GHz 대역이 보조망이 였기 때문에 기지국 구축이 전국망 처럼 촘촘하게 구축되어 있는것이 아니죠.

두개의 주파수가 동일한 기지국 구축이 되어 있어야

2배 빠른 LTE 서비스가 가능한 LTE-A 서비스는 이런 구조때문에 사용자들의 불만이 많았는데요

고가의 신규단말기로 바꿨는데 오히려 LTE 보다 속도가 느리니 말 다했죠.

 

주파수 경매를 통해 SKT는 1.8GHz 대역을 추가로 할당받았습니다.

때문에 보조망으로 운영했던 1.8GHz 대역에서 광대역 LTE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KT와 마찬가지로 대역폭을 2배 넓힌 광대역 LTE 서비스가 가능하지만

문제는 1.8GHz 주파수가 보조망이 였기 때문에

기지국 구축하는데도 KT 보다 시간과 비용적인 부분이 많이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 SKT는 1.8GHz 주파수에 기지국 구축이 한창이고

현재 서울지역에서만 광대역 LTE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LGU+의 광대역 LTE를 알아보겠습니다.

LUG+는 800MHz 주파수의 전국망과 21.GHz 주파수에서 보조망을 운영하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LGU+가 추가로 할당받은 주파수는 아쉽게도 2.6GHz 대역으로 현재 전혀 기지국 구축이 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주파수를 할당받았습니다.

때문에 처음부터 기지국 구축에 들어가야하기때문에

KT, SKT에 비해 어마어마한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게됩니다.

 

현재 LGU+에서도 광대역 LTE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보도기사를 내기도 했지만

아직 구축도 되어있지 않은데 서비스 발표기사부터 냈다고 논란이 많이 있었습니다.

 

 

같은 연장선상에 있는 3배 빠른 광대역 LTE-A

광대역 LTE (20MHz 대역폭) + LTE (10MHz 대역폭)  를 묶어 3배 LTE 서비스를 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광대역 LTE가 잘되어야 광대역 LTE-A 서비스도 잘 될수 있습니다.

 

KT는 이미 전국망이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광대역 LTE, 광대역 LTE-A 서비스의

최대 수혜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최근 KT는 광대역 LTE, 광대역 LTE-A 서비스를 위해

기본데이터가 3배나 많은 15GB 제공되는 요금제를 출시했습니다.

물론 LTE 사용자들도 선택할 수 있는 요금제 입니다.

15GB면 거의 무제한이나 마찬가지인데요

15GB를 모두 소진하면 400Kbps 속도로 무제한 이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다만 통화량이 100~300분이기 때문에 통화량이 작고

데이터를 많이 사용하는 20~30대 사용자들에게 유용할것 같아요

 

 

 

 

3배 빨라지고 좋아진 광대역 LTE-A로 데이터 알차게 즐기기!!

 

 

 

3배나 빨라진 광대역 LTE-A

3배 빠른 광대역 LTE-A 시대에 맞춰 데이터 소비가 많은 사용자들을 위해

그야말로 파격적인 데이터가 제공되는 광대역 무제한 요금제까지!!

 

다양한 요금제로 자신의 사용패턴에 맞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어서 좋은것 같네요 ^^

 

 

 

 

 

반응형